4월 20일 바로 알기
우리나라 ‘장애인의 날’은 어떻게 시작됐을까?
4월 20일은 ‘장애인의 날’이다. 왜 이날로 정해졌을까. 4월은 1년 중 모든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 이러한 의미에 맞춰 장애인의 재활 의지를 부각할 수 있다는 데 의미를 두고 지정되었다고 한다. 이번 호에서는 우리나라 장애인의 날 역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글 편집부
1991년, ‘장애인의 날’ 법정기념일로 지정
1981년 국제연합(UN)은 ‘세계 장애인의 해’로 선언하고 세계 각국에 기념사업을 추진하도록 권장했다. 이에 우리나라는 ‘장애인의 해’ 선언 취지를 달성하기 위해 ‘세계 장애인의 해 한국 사업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각종 사업을 추진했다. 보건사회부가 4월 20일 ‘제1회 장애인의 날’ 행사를 주최했지만, 당시 법정기념일로 지정되지 못하였고, 1982년부터 한국장애인재활협회의 주관으로 ‘장애인재활대회’라는 명칭 아래 기념식이 개최되었다.
이후 1991년 정부는 ‘장애인복지법’, ‘장애인고용촉진법’을 제·개정했다. 장애인복지법 규정에 따르면 “국가는 국민의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재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장애인의 날과 장애인 주간을 설정한다”라고 명시했다. 이에 따라 4월 20일인 ‘장애인의 날’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됐으며, 그 일주일간을 장애인주간으로 정했다. 참고로 세계 장애인의 날(International Day of People with Disability)은 매년 12월 3일이다.
서울올림픽 이후 장애인 인식변화 시작
1960~1970년대 우리나라는 장애인에 관련된 법, 제도가 전혀 구축돼 있지 않았던 암흑기였다.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관계가 아닌 가엾고 불행한 사람으로 인식되는 것에 그쳤던 시기다. 이런 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가 본격적으로 생기기 시작한 것은 1988년 서울올림픽에 이어 패럴림픽이 개최되면서부터다. 두 올림픽을 계기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서서히 바뀌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장애인 종합 대책과 복지 전반에 대한 제도적 기초가 마련됐으며, 장애에 대한 이해와 인식 개선을 주제로 하는 캠페인이 활발하게 펼쳐졌다. 2000년대 이후에는 장애인들의 주체적인 목소리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본권이 보장됐다. 이로써 국민들은 장애를 동정하고 외면하는 것이 얼마나 차별적인지를 인식하기 시작했고, 장애인 제도와 관련 법들이 구체적으로 활성화되었다.
더불어 사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되새김
한편에서는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장애인차별철폐의 날이라 부르기도 한다. 과거 대비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었지만, 선진국들보다 개선할 사항들이 많이 남아있는 실정이다. 특히 장애인 이동권(이동할 수 있는 권리)은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예시로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 장애인 인구수는 약 264만 명이다. 대구광역시 전체 인구수(약 240만 명)보다 훨씬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평소에 일상에서 장애인을 마주치기란 쉽지 않다. 이는 아직 여러 이유로 장애인이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장애인 이동권뿐만 아니라 많은 분야에서 장애인을 위한 복지는 부족하다. 현실 개선을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까. 당장 구체적인 해결책을 내놓을 수 없을지라도, 인간이 누릴 수 있는 기본 권리를 향해 외치는 장애인들의 목소리를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이것은 우리가 더불어 사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나가는 진일보의 시작점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