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두드리다
KEAD 사전

장애인 용어 바로 쓰기

차별 용어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당신이 직장에서, 길거리에서, 행사장에서 장애인을 만나면 왠지 모르게 우리와는 다른 사람, 어딘지 모르게 불편한 사람이라는 편견이 머릿속에 불쑥 떠오른다. 그러다가 무언가를 함께 해야 하거나 도와줘야 때가 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주춤거리게 된다. 혹시나 나의 말과 행동이 상대방에게 상처가 되지 않을까, 또는 장애인에 대해 너무 몰라서 선뜻 다가가지 못하는 것도 사실일 것이다. 지금부터 몇 가지 차별용어를 알게 된다면 장애인을 대하는 것이 한결 편해질 수 있다.

김성수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 사무국장

사람들이 오우 엑스 말풍선을 떠올리고 있는 일러스트 이미지
놀릴 때 하는 명칭도 주의

멍청이의 ‘-이’나 바보의 ‘-보’는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접미사로 대체로 정상적이 아니거나, 이질적인 사람을 지칭할 때 주로 붙여 쓰인다. 이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의 호칭으로 사용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명칭을 사용할 때는 장애인복지법이나 장애인 등 특수교육법에 있는 장애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장애인을 대중에 소개할 때

장애인을 소개할 때 ‘장애 때문에’, ‘장애로 인해’, ‘장애에도 불구하고’, ‘비록 장애는 가졌지만’, ‘장애를 딛고’, ‘장애를 이겨내고’, 그리고 ‘비록 장애가 있을지라도’라는 등의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제는 ‘장애 극복’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 장애는 평생 가지고 사는 것이기에 ‘투쟁’의 반복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서 ‘장애 극복’은 장애를 왜곡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장애인의 반대용어는?

한때 장애인의 반대용어로 ‘정상인’을 사용하여서 이를 개선하고자 ‘비장애인’을 사용했는데, 이제는 정착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청각장애인은 ‘청인’, 시각장애인은 ‘정안인’이라고 반대용어로 부르고 있다. 그런데 이 용어는 대결적인 요소가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다.

잠깐! 장애를 앓는다고?

장애는 질환이 아니므로 ‘앓다’라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 장애 원인은 질환이 될 수 있지만, 장애는 그로 말미암은 결과이다. 우리나라는 등록 장애인 범위를 법으로 정해 놓고 있다. 아파서 몸이 불편해도 이를 다 장애인이라고 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애를 가지고 있다’ 또는 ‘장애가 있다’라고 써야 한다.

그밖에 관용적인 차별 용어

장애인과 관련된 관용 표현이 대부분 부정적이다. 장애인을 낮춰 부르는 말임을 알면서도, 오랫동안 굳혀져 온 표현이라서 그대로 쓰는 차별 용어이기도 하다. ‘꿀 먹은 벙어리’, ‘귀머거리 삼 년’, ‘절름발이 행정’과 같은 관용 표현(속담의 경우 관용적 표현)이 그 예다. 특히 이런 용어는 비유하기 좋아서 정치권이나 언론에서 많이 사용했는데, 최근에는 사용을 자제하는 캠페인을 하고 있다. 그래서 대체용어를 제시하기도 한다. 꿀 먹은 벙어리는 ‘가슴앓이’로, 외눈박이 시각은 ‘왜곡된 시각’이라고 사용하고 있다.

일본어 잔재로 남은 차별 용어

찐따(찐빠: ちんば)는 어수룩하고 지질한 사람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는데, 이는 절름발이를 뜻하는 일본어 ‘찐빠(ちんば)’의 잔재용어다. 이것을 주로 양다리의 길이가 달라 걷기 불편한 사람, 주로 소아마비 인을 비하하는 용어이다. 지금은 뜻도 모른 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땡깡(덴칸てんかん)도 어린아이가 억지를 부리는 경우 ‘땡깡 부린다’는 표현을 많이 사용하는데, 땡깡도 일본어 ‘덴칸(てんかん)’의 잔재용어로 뇌전증을 뜻한다. 뇌전증의 증상과 억지를 부리며 우기는 모습이 비슷하다고 해서 사용하게 된 말이라고 하니, ‘생떼’ 또는 ‘억지’라는 말로 바꿔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