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AD 데이터

장애인고용을 위한
업무역량 향상 필요성

우리 사회의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만족도는 어떨까. 더불어 만족스럽지 않은 부분이 있다면 이는 어떤 것 때문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무엇을 노력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우리나라 장애인고용 기업체는 장애인고용에 대해 얼마큼 만족하고 있을까. 지난 2022년 조사에 따르면 장애인고용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장애인 근로자에 대해 평균 이상의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5점 척도(1: 부정적 인식, 5: 긍정적 인식)에서 대체로 3.5점 내외였다. ‘장애인고용으로 인한 도움 정도’에서는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긍정적 인식 등 실제 고용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더불어 ‘장애인 근로자 채용 시 주된 애로사항(1순위)’에 대해서도 ‘특별한 애로사항 없었음’이 52.9%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약 절반 정도가 애로사항이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는데, 그중 ‘업무능력을 갖춘 인력이 부족해서’가 16.5%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만족도

    (단위: 점)

    구분 전체
    (고용·미고용)
    근무 태도 3.54
    대인 관계 3.50
    생산성 및 업무 능력 3.51
    전반적인 만족도 3.55

    주) 매우 불만족이다=1, 불만족이다=2, 보통이다=3, 만족한다=4, 매우 만족한다=5(5점 척도 기준)

  • 장애인고용으로 인한 도움 정도

    (단위: 점)

    구분 전체
    (고용·미고용)
    장애인고용 의무 이행 3.58
    재무적 성과 3.48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3.47
    인력 수급과 고용 유지 3.38
    기업이미지 개선 효과 3.34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긍정적 인식 3.39

    주) 매우 불만족이다=1, 불만족이다=2, 보통이다=3, 만족한다=4, 매우 만족한다=5(5점 척도 기준)

장애인 근로자 채용 시 주된 애로사항(1순위)

(단위: %)

구분 전체
(고용·미고용)
업무 능력을 갖춘 인력이 부족해서 16.5
장애인 지원자 자체가 없어서 12.7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무가 부족해서 10.1
근무환경이 유해하거나 위험해서 2.6
사업주, 관리자, 동료 등이 채용에 대해 소극적 1.5
장애인용 장비·편의시설 등이 부족해서 1.5
채용 후 인사관리가 어려울 것 같아서 1.3
출퇴근상의 어려움 때문에 0.9
특별한 애로사항 없었음 52.9

주) 매우 불만족이다=1, 불만족이다=2, 보통이다=3, 만족한다=4, 매우 만족한다=5(5점 척도 기준)

이와 연결되는 것으로 ‘장애인 근로자 채용지원 서비스 필요 여부’에 대해 25.9%가 ‘기업에 적합한 인력 추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장애인 근로자 고용유지 서비스 필요 여부’에 대해서도 ‘재직 근로 장애인 근로자 직무능력 향상 훈련’이라 답한 비율이 24.6%를 차지했다.
수익 활동을 하는 기업에게는 근로자의 업무역량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밖에 없다. 더불어 직무에 적합한 업무능력은 재직자 스스로도 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일이기에 결코 배제해서는 안 된다. 제도적인 도움이 필요한 이유다.

  • 장애인 근로자 채용지원 서비스 필요 여부(중복 응답)

    ※ 71.6% 필요한 서비스 없음

    1순위 25.9% 기업에 적합한 인력 추천, 2순위 24.7% 모집대행 서비스
  • 장애인 근로자 고용유지 서비스 필요 여부(중복 응답)

    ※ 71.2% 필요한 서비스 없음

    1순위 24.6% 재직 근로 장애인 근로자 직무능력 향상 훈련, 2순위 23.7% 사업체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편의시설 진단 및 인증서비스 지원

조사 대상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8조에서 규정하는 고용의무사업주 단위의 ‘기업체’이며, 한 개의 기업체는 다수 사업체(사업장)을 포괄할 수 있음

참고 자료
2023년 기업체장애인고용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이전 페이지 이동 버튼
  • 다음 페이지 이동 버튼
  • 최상단 이동 버튼